매달 부담되는 관리비, 배달비, 4대 보험료, 전기세 등으로 고민이셨던 소상공인 분들께 희소식입니다. 별도 서류 없이 사업자등록번호만 입력해도 간편하게 받을 수 있는 ‘소상공인 부담경감크레딧’인데요. 지금부터 부담경감크레딧의 뜻, 지원금 50만원의 신청 방법과 대상, 사용처에 대해 알려드립니다.
1. 부담경감크레딧 소개
정부가 시행하는 이 제도는 고금리와 고물가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의 고정비 부담을 줄여주는 정책입니다. 전기세, 건강보험료 등 매달 빠져나가는 필수 고정비에 대해 일부 금액을 디지털 크레딧 형식으로 지원해 드려요. 지원금은 카드에 충전되며, 해당 비용을 결제할 때 자동으로 차감됩니다.
2. 지원금 최대 50만원 지급
기존 현금지원과 달리 실질적인 비용 절감 효과가 있는 방식으로, 50만 원이 디지털 크레딧으로 지급됩니다. 별도 서류 제출도 없고, 신청 후 등록된 카드로 결제 시 남은 금액에서 자동 차감되니 매우 간편하죠.
3. 지원 대상과 조건
- 연 매출 3억 원 이하인 소상공인 (2023~2024년 국세청 신고 기준)
- 2025년 5월 1일 이전에 개업한 사업자
- 휴·폐업 상태가 아닌 현재 영업 중인 사업체
- 유흥, 도박, 담배 등 제외업종은 신청 불가
4. 신청 기간 및 5부제
2025년 7월 14일(월)부터 11월 28일(금)까지 신청 가능하며, 7/19일까지는 사업자등록번호 끝자리에 따라 초기 5일간 5부제가 적용됩니다.
- 7/14 (월): 4, 9
- 7/15 (화): 0, 5
- 7/16 (수): 1, 6
- 7/17 (목): 2, 7
- 7/18 (금): 3, 8
- 7/19 (토)부터는 누구나 자유롭게 신청 가능
사용 기한은 2025년 12월 31일까지이므로 기한 내 꼭 사용하세요!
5. 신청 방법
항목 | 내용 |
---|---|
신청 경로 | 부담경감크레딧.kr 또는 소상공인24 접속 |
인증 방식 | 본인 인증 후 사업자등록번호 입력 |
카드 등록 | 카드사 선택 시 자동 연동 |
서류 제출 | 별도 서류 제출 없음 |
신규 개업자 | 2025년 8월 1일 이후 신청 가능 |
특징 | 자동 판정 및 무서류 절차로 간편 신청 가능 |
6. 사용처
지급받은 크레딧은 전기요금, 국민연금, 건강·산재보험료 등 고정비에 사용할 수 있으며, 등록된 카드로 결제하면 남은 잔액에서 자동 차감됩니다. 특히 크레딧을 공공요금, 보험료 등 자주 나가는 항목에 우선 설정하면 절감 체감이 훨씬 크답니다.
7. 유의사항 및 함께 신청하면 좋은 제도
- 등록 카드 변경이 불가능하니, 평소 공공요금이나 보험료 결제에 사용하는 카드로 설정할 것
-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될 수 있으니 가급적 5부제 기간에 신청 권장
- 전기요금 감면제도, 자영업자 고용보험료 지원제도 등과 병행 신청 시 효과 극대화
이번 부담경감크레딧은 소상공인의 실제 지출을 줄여주는 실속형 지원입니다. 사업자등록번호만으로 간편하게 신청 가능하니, 꼭 챙겨보시고 빠르게 신청해 보세요!